제5보병사단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5보병사단 (대한민국)은 1948년 4월 29일 창설된 대한민국 육군 보병 사단이다.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여러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특히 피의 능선 전투와 가칠봉 전투에서 승리하여 '천하무적 사단'이라는 칭호를 얻었다. 현재는 경기도 연천군에 주둔하며, 주요 인물로는 박정희, 채명신, 정지훈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16 군사정변 관련 부대 - 대한민국 해병대
대한민국 해병대는 1949년 창설된 해군 예하 상륙전 부대로,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 등에 참전했으며, 사령부 재창설과 전력 증강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나, 병영 부조리 문제도 안고 있다. - 5·16 군사정변 관련 부대 - 육군특수전사령부
육군특수전사령부(특전사)는 1969년 창설되어 육해공 다양한 경로로 적진에 침투해 특수작전을 수행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기능사령부이며, 전시에는 연합특수전사령부를 구성하고 국내외 다양한 작전에 투입되었으며 2016년 경기도 이천시로 이전했다. - 연천군 소재의 관공서 - 연천경찰서
연천경찰서는 1945년 개서하여 현재 연천군 연천읍에 위치하며 7개의 파출소를 산하에 두고 연천군 전 지역의 치안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 연천군 소재의 관공서 - 연천소방서
연천소방서는 경기도 연천군을 관할하며, 2008년 동두천소방서에서 분리 개청하여 4개의 119안전센터와 1개의 구조대를 산하에 두고 소방 행정, 재난 예방, 소방 안전 점검 및 현장 대응 업무를 수행한다. - 한국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사단 - 수도기계화보병사단
수도기계화보병사단은 1949년 창설되어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으며, 기계화 장비를 운용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보병사단이다. - 한국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사단 - 제11기동사단
제11기동사단은 1950년 창설되어 한국 전쟁 참전 및 대간첩 작전을 수행했으며, 기계화보병사단으로 개편된 후 현재는 3개의 기계화보병여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5보병사단 (대한민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창설일 | 1948년 4월 29일 |
국가 | 대한민국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종류 | 사단 |
역할 | 보병 |
규모 | 사단 |
별칭 | 열쇠부대 |
표어 | 배수지진 살기충천, 천하무적 통일열쇠 |
군가 | 5사단가 |
위치 | 경기도 연천군 |
지휘 | |
현재 사단장 | 소장 윤기중 (육사 51기) |
주요 지휘관 | 준장 민기식 소장 박정희 소장 채명신 |
상급 부대 | 제5군단 |
전투 및 훈련 | |
참전 | 한국 전쟁 지리산 공비 토벌전 |
주요 전투 | 피의 능선 전투 |
2. 역사
제5보병사단은 1948년 4월 29일 수색에서 제5여단으로 창설되어, 1949년 5월 12일 제5사단으로 승격되었다. 초기에는 광주에 주둔하며 제3, 4, 9연대로 편성되었으나, 1950년 6월에는 제15연대(최영희 대령), 제20연대(박기병 중령), 제1독립대대, 포병대로 구성된 2개 연대 중심으로 재편되었다.
한국 전쟁 발발 직후, 5사단은 서울 북방에 투입되었으나 괴멸되었고, 병력은 제1사단에 흡수되었다. 이후 1950년 10월 8일, 대구에서 제27, 35, 36연대를 기반으로 재창설되어 태백산맥 남쪽과 영남 일대에서 게릴라 토벌 작전을 수행했다.
1950년 12월, 중국 인민지원군의 남하로 춘천 북방에 투입되었으나, 중국군 제66군의 공세로 후퇴했다. 1951년 1월, 미 제10군단에 배속되었고, 2월에는 홍천에서 북한군 제5군단의 공세를 받아 제천 북쪽으로 물러나 방어 진지를 구축했다. 이후 한국군 제1군단에 배속되었다가 3월에 다시 미 제10군단으로 복귀했다.
1951년 4월, 5사단은 인제를 공격하여 북한군 제12사단의 방어 거점이었던 548-664고지를 확보하고 인제 북쪽 서호리까지 진출했다. 그러나 5월, 중국군의 공세로 다시 후퇴해야 했다.
1951년 8월, 제36연대가 983-940-773고지군을 공격했고, 9월에는 1211고지 전투가 시작되었다. 10월에는 양양으로 이동하여 부대 정비 및 교육 훈련을 실시했다. 1952년 1월, 교육을 마친 5사단은 제1군단에 배속되었고, 7월부터 11월까지 351고지 전투를 벌여 북한군 제9사단을 격퇴하고 고지를 확보했다.
1953년, 5사단은 제2군단에 배속되었으며, 같은 해 12월부터 1954년 5월까지 지리산에서 게릴라 토벌 작전을 수행했다.
2. 1. 초창기
1948년 4월 29일 경기도 수색에서 제5여단으로 창설되었고, 이후 광주광역시로 이동하여 1949년 5월 12일 제5보병사단으로 승격되었다.[2] 초대 사단장은 송호성 준장이었으며, 1949년 7월에는 백선엽이 사단장으로 부임하였다.[2]사단은 전주에 제15연대, 광주에 제20연대를 주둔시켜 4.3사건과 여수·순천 사건을 진압하고, 공비토벌과 부대 정비 및 교육훈련을 실시하였다.[2]
1950년 6월에는 제15연대(연대장: 최영희 대령), 제20연대(연대장: 박기병 중령), 제1독립대대, 포병대로 2개 연대를 주축으로 편성되었다.[2]
2. 2. 한국 전쟁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자, 제5보병사단은 육군본부의 소환을 받고 서울 용산에서 북한군의 남하를 막는 지연작전에 참여하였다. 1950년 7월 1일부터 시흥으로 지연전을 펼치며 철수하였으나,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병력이 흩어져 7월 17일 사단이 해체되었다.[2] 이후 1950년 10월 8일, 대구에 있던 제27연대, 마산에 있던 제35연대, 부산에 있던 제36연대를 중심으로 대구에서 제5보병사단이 다시 창설되었다.[2]재창설된 5사단은 이후 여러 전투에 참전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피의 능선 전투와 가칠봉 전투가 대표적이다.
피의 능선 전투는 종군기자들이 신문에 'Bloody Ridge'라고 보도하면서 붙여진 이름으로, 강원도 양구에 있는 983고지·940고지·773고지에서 벌어진 전투를 말한다. 이 고지를 탈환하기 위해 미군 제2보병사단과 국군 제5보병사단이 북한군 제12보병사단, 제24보병사단과 격렬하게 싸웠다. 전투 결과, 한미 양군은 1개 연대 규모, 북한군은 1개 사단 규모의 사상자를 냈으며, 한미 양군이 승리하였다. 이 전투는 6.25 전쟁 전체를 통틀어 단일 전투에서 가장 큰 전과를 올린 전투로, 당시 이승만 대통령은 5사단에 '''천하무적 사단'''이라는 칭호를 내렸다.
가칠봉 전투는 1951년 6월 23일 휴전회담이 제기된 이후, 방어에 유리한 지형을 확보하기 위해 미군 제19군단장이 양구 북방의 가칠봉 일대에 5사단을 투입하여 고지를 점령하도록 한 작전이었다. 당시 북한군은 제27보병사단과 제12보병사단의 2개 사단 규모 병력을 투입하여 반격에 나섰으나, 40여 일간의 치열한 격전 끝에 5사단이 승리하였다.
이후 5사단은 1952년 10월에 강원도 351고지 전투를 승리로 이끌며 강원도 전선을 북쪽으로 밀어 올렸고, 이 전선은 현재 휴전선의 일부가 되었다.
1950년 12월, 중국 인민지원군의 남하로 춘천 북방에 투입되었다. 제66군의 공세를 받아 후퇴했다. 1951년 1월 3일, 미국 제10군단(군단장: 아몬드 소장)에 편입되었다.[2]
1951년 2월, 홍천으로 진격하던 중 인민군 제5군단(군단장: 방호산 중장)의 공세를 받아 후퇴했다. 제천 북쪽에 방어 진지를 구축했다. 중공군의 2월 공세를 받아 대한민국 제1군단(군단장: 백선엽 소장)에 배속되어 단양-풍기 간 주 보급로 경계에 임하며 부대 정비에 힘쓴 후, 3월 3일 다시 미국 제10군단에 배속되었다.[2]
1951년 4월 7일, 인민군 제12사단이 점령하고 있던 인제에 공격을 개시했다. 3일간의 전투로 인민군의 방어 거점이었던 548-664고지를 확보하고, 인제 북쪽의 서호리까지 진출했다.[2]
1951년 5월, 중공군의 5월 공세로 인해 후퇴했다.[2]
1951년 8월 18일, 제36연대(연대장: 황엽 대령)가 983-940-773고지군을 공격하였다.[2]
1951년 9월 4일, 1211고지 전투가 시작되었다.[2]
1951년 10월 21일, 작전 지역을 제3사단에 인계한 후, 양양으로 이동하여 부대 정비와 교육 훈련을 시작했다.[2]
1952년 1월 11일, 교육을 수료한 후, 제11사단과 교대하여 제1군단(군단장: 이형근 소장)에 배속되었다.[2]
1952년 7월 10일부터 11월 10일까지 351고지 전투를 전개, 인민군 제9사단 (사단장: 석종구 소장)을 격퇴하고 351고지를 확보했다. 같은 해 11월 9일, 대대 규모의 공격을 받아 351고지를 상실했으나, 즉시 반격하여 재탈환했다.[2]
1953년, 제2군단 (군단장: 정일권 중장)에 배속.[2]
1953년 12월 11일부터 1954년 5월 25일까지 지리산에서 게릴라 토벌을 실시했다.[2]
2. 3. 휴전 이후
1953년 휴전 이후, 5사단은 강원도 화천에서 전라북도 남원으로 이동하여 지리산 공비 토벌 작전에 투입되었다.[2] 이후 1954년 강원도 철원, 1960년 경기도 포천, 1971년 경기도 양평을 거쳐 1978년 4월 1일부터 경기도 연천에 주둔하고 있다.1961년 5.16 군사정변 당시 5사단장이었던 채명신은 연대장 정봉욱(대령 포병참모)과 함께 사단을 이끌고 정변에 가담하였다.
2020년 12월부터 육군의 각 사단 예하 연대가 여단으로 승격됨에 따라 5사단 역시 예하 3개 보병연대와 포병연대가 여단으로 승격되었다.

3. 백마고지
백마고지는 대한민국 서북방에 위치한 고지로, 미군이 겨울에 눈 내린 이 고지를 하늘에서 내려다본 모양이 하얀 말과 닮았다 하여 '화이트 호스(White Horse)'라고 부른 것에서 그 이름이 유래한다. 이 고지는 경기도와 북한 함경도를 잇는 남북 교통의 요충지에 위치해 있어, 지리적으로 굉장히 중요한 곳이다. 6.25 전쟁 당시 치열한 전투 끝에 백마고지를 잃었다는 보고를 받은 김일성은 이 고지를 잃은 것에 대해 굉장히 아쉬워하며, 백마고지 오른쪽 뒤편 고암산에서 사흘간 통곡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고암산을 김일성 고지라고 일컫기도 한다.) 제9보병사단의 별칭인 '백마부대'의 모태이기도 한 이 고지는, 현재 제5보병사단이 관할 및 경계를 하고 있다.
4. 열쇠 전망대
1998년 4월 11일 제5보병사단이 연천군 신서면 마전리에 세우고 관리하는 전망 시설로, 고향을 그리워하는 실향민과 6.25 전쟁 참전 용사들을 위해 만들어졌다. 전망대는 면적 624m2에 지상 2층 구조로 지어졌는데, 1층은 DMZ 체험실, 6.25 전쟁 유품관, 내무실 체험관, 2층은 DMZ 생태계 전시관, 영상브리핑실, 전망대로 구성되어 있다.
5. 알려진 전투
5사단은 6.25 전쟁 동안 여러 중요한 전투에 참여했다. 특히 피의 능선 전투와 가칠봉 전투는 5사단의 대표적인 전투로 꼽힌다.
피의 능선 전투는 강원도 양구에 있는 983고지, 940고지, 773고지에서 벌어졌다. 5사단은 미군 2사단과 함께 북한군 12사단, 24사단과 격렬하게 싸웠다. 이 전투에서 한미 양군은 1개 연대 규모, 북한군은 1개 사단 규모의 사상자를 냈지만, 결국 한미 양군이 승리했다. 이 승리로 이승만 대통령은 5사단에 '천하무적 사단'이라는 칭호를 부여했다.[2]
가칠봉 전투는 1951년 6월 휴전 회담이 제기된 이후, 방어에 유리한 지형을 확보하기 위해 미군 19군단장이 5사단을 투입하여 가칠봉 일대를 점령하도록 한 작전이었다. 북한군은 27사단과 12사단의 2개 사단 병력으로 반격했지만, 40여 일간의 격전 끝에 5사단이 승리했다.
5사단은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전투에 참여했다.
6. 부대 편성
- 제27보병여단 (표범) - GOP 경계
- 제35보병여단 (사자)
- 제36보병여단 (독수리) - GOP 경계
- 포병여단 (백곰)
- * 제359포병대대
- * 제822포병대대
- * 제988포병대대
- * 제999포병대대
- * 제77포병대대
- 직할대
- * 본부근무대
- * 공병대대 (황소)
- * 정비대대 (참수리)
- * 보급수송대대
- * 수색대대 (비마)
- * 의무근무대
- * 정보통신대대
- * 전차대대
- * 군사경찰대대
- * 화생방지원대
- * 보충중대
- * 방공중대
7. 주요 인물
제5보병사단은 박정희, 채명신 등 역대 사단장과 정지훈, 이태석 신부, 배우 이장우 등 유명 인사를 배출했다. BTS 멤버 김석진, 박지민, 전정국도 이 사단에서 복무했다.[2]
7. 1. 역대 사단장
대 | 성명 | 재임 기간 | 출신 학교 | 전직 | 후임 | 비고 |
---|---|---|---|---|---|---|
1 | 김상겸 | 1948년 4월 29일 ~ 10월 19일 | 헌병학교 3기 | 여수·순천 사건으로 해임 | ||
대리 | 김백일 | 1948년 10월 23일 ~ 1949년 1월 15일 | 奉天|봉천중국어 5기 군영 1기 | 특별 부대 사령관 | 제6여단장 | |
2 | 원용덕 | 1949년 1월 15일 ~ 8월 | 흥안 군의학교 | 제2여단장 | 육군본부 행정참모부 부장 | |
3 | 송호성 | 1949년 5월 12일 ~ | 간쑤 군사강습소 헌병학교 2기 | |||
4 | 백선엽 | 1949년 7월 30일 ~ 1950년 4월 22일 | 奉天|봉천중국어 9기 | 제1사단장 | ||
5 | 이응준 | 1950년 4월 22일 ~ | 일본 육사 26기 군영 1기 | 수원지구 방위 사령관 | ||
6 | 이형석 | 1950년 7월 5일 ~ 9월 | 일본 육사 45기 | 육군 보병학교 교무관 | 육군종합학교 전술과장 | [1] |
7 | 민기식 | 1950년 10월 8일 ~ 1951년 11월 7일 | 건국대학교 군영 1기 | 경인 지구 계엄사령부 부사령관 | 육군대학 부총장 | 준장[1] |
대리 | 임부택 | 1950년 10월 8일 ~ 1952년 1월 31일 | 헌병학교 1기 | 부사단장 | 부사단장 | 대령[1] |
8 | 장창국 | 1952년 1월 31일 ~ 8월 1일 | 사후 59기 | [1] | ||
9 | 김종갑 | 1952년 8월 1일 ~ | 일본 예비사관 군영 1기 | [3] | ||
10 | 최홍희 | 1953년 5월 1일 ~ | 군영 1기 | 제1군단 부군단장 | [4] | |
11 | 김종갑 | 1953년 6월 15일 ~ | 일본 예비사관 군영 1기 | |||
12 | 박병권 | 1953년 6월 29일 ~ 1953년 7월 16일 | 군영 1기 | 제9사단장 | 미국 유학 준비 중이던 김종갑이 소환되어 잠시 사단장은 2인이었다.[6] | |
13 | 장도영 | 1953년 7월 16일 ~ 1953년 8월 2일 | 군영 1기 | 제8사단장 | 제2군단장 | [7] |
14 | 박병권 | 1953년 8월 2일 ~ 1954년 3월 7일 | 군영 1기 | 육군사관학교 교장 | [8] | |
15 | 김종갑 | 1954년 3월 7일 ~ 1955년 7월 1일 | 일본 예비사관 군영 1기 | |||
16 | 박정희 | 1955년 7월 1일 ~ 1956년 7월 10일 | 滿洲國|만주국중국어 동덕대 2기 일본 육사 57기 헌병학교 2기 | 교육총본부 포병감 | 육군대학 입학 | |
17 | 황엽 | 1956년 7월 ~ | 헌병학교 1기 | 육본 병기감 | 연합참모본부 제1부장 | [9] |
18 | 박춘식 | 1959년 6월 2일 ~ 1959년 7월 | 육군훈련소 7기 헌병학교 5기 | 제37사단장 | 제12사단장 | 준장[10][11] |
19 | 이용 | 1959년 7월 ~ 1960년 4월 | 육군훈련소 7기 헌병학교 5기 | 제12사단장 | 제6사단장 | 준장[11] |
20 | 채명신 | 1960년 4월 ~ 1961년 5월 | 헌병학교 5기 | 제38사단장 | 군사혁명위원회 위원 | |
이규학 | 1963년 ~ 1965년 | 헌병학교 2기 | 제2군 참모장 | 육본 관리참모부 차장 | ||
정병주 | 1971년 ~ | 육사 9기 | 대통령 경호실 차장 | |||
28 | 김복동 | 1977년 2월 ~ 1979년 1월 | 육사 11기 | 제3군 작전참모 | 제3군 참모장 | |
29 | 이범천 | 1979년 1월 ~ 1980년 | 육사 11기 | 60연대장 | ||
30 | 정호근 | 1980년 ~ 1983년 | 갑종 5기 | 국방부 군특명검열단 제1부장 | 제7군단장 | |
32 | 신우식한국어 | ~ 1984년 | 육사 14기 | 제7공수특전여단장 | 교육사령부 부사령관 | 하나회 |
33 | 신말업 | 1984년 ~ 1987년 | 육사 16기 | 제2군단장 | 하나회 | |
이석복 | 1990년 7월 ~ 1993년 | 육사 21기 | 한미연합사 부참모장 | [12][13] | ||
이장흠한국어 | ~ 1997년 | 갑종 202기 | 육군본부 전투정보부장 | 국방부 정보부장 | [14][15][16] | |
40 | 안병한한국어 | 1999년 ~ | 육사 27기 | 합참본부 작전기획부장 | [17] | |
45 | 권혁순한국어 | 2007년 5월 2일 ~ 2009년 4월 | 육사 34기 | 제2군 작전처장 | 합참본부 군사지원본부장 | [18] |
46 | 박삼득한국어 | 2009년 4월 ~ 2011년 5월 | 육사 36기 | 육본 정보작전참모부 작전처장 | 육군본부 개혁실장 | |
47 | 최병로 | 2011년 5월 ~ | 육사 38기 | 제3군 작전처장 | 제2군 참모장 | |
48 | 주창환 | ~ 2014년 4월 14일 | 육사 40기 | 연합사령부 작전참모부 처장 | [19] | |
49 | 정진경 | 2014년 4월 14일 ~ 2017년 9월 | 육사 42기 | 국방부 인사기획관리과장 | [20] | |
50 | 전유광 | 2017년 9월 ~ 2019년 5월 | 육사 44기 | 합동참모본부 정보융합실장 | 777사령관 | |
51 | 이상철 | 2019년 5월 ~ 2021년 10월 | 학군 28기 | 제2군 작전처장 | 군사안보지원사령관 |
7. 2. 5사단 출신 주요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BTS '진' 입대한 5사단은… GOP 지키는 중부전선 최전방 부대
https://www.donga.co[...]
2022-12-14
[2]
서적
対ゲリラ戦
原書房
[3]
웹사이트
6・25戦争史 第10巻
http://www.imhc.mil.[...]
国防部軍事編纂研究所
2016-09-06
[4]
서적
韓国戦争第6巻 休戦
かや書房
[5]
서적
対ゲリラ戦
原書房
[6]
뉴스
(396)피어린 산과 언덕(20)
http://news.joins.co[...]
2018-07-12
[7]
서적
韓国戦争第6巻 休戦
かや書房
[8]
웹사이트
歴代5師団長たち...故朴正煕大統領
http://koreadefence.[...]
[9]
서적
韓国・北朝鮮人名辞典
世界政経調査会
1966-06-20
[10]
뉴스
將星級 15名 異動
http://www.busan.com[...]
2019-10-24
[11]
뉴스
政府人事
http://www.busan.com[...]
2019-10-24
[12]
뉴스
軍停委首席代表 車基文少将 任命(군정위 수석대표 차기문소장 임명)
https://news.joins.c[...]
2020-01-03
[13]
뉴스
(法向を伝える隣人) - 国防総省信徒会長 李釋馥将軍((법향을 전하는 이웃들)-국방부신도회장 이석복 장군)
http://www.ibulgyo.c[...]
2020-01-03
[14]
뉴스
軍人事、三士出身初の師団長輩出関心(군인사, 3사출신 첫 사단장 배출 관심)
https://www.donga.co[...]
2021-09-05
[15]
뉴스
【来月軍人事】海軍総長後任「嶺湖南対決」(【내달 군인사】 해군총장 후임 '영호남 대결' )
https://www.hankooki[...]
2021-09-05
[16]
뉴스
李將欽 ユン・ソクジョン同門「誇らしい忠高人賞」受賞(이장흠·윤석종 동문 ‘자랑스런 충고인상’ 수상)
http://www.cjwn.com/[...]
2021-09-05
[17]
뉴스
金大統領、水害現場を訪問(김대통령, 수해현장 방문)
https://www.korea.kr[...]
2021-09-05
[18]
웹사이트
年末前方部隊(5師団)慰問イベント結果案内
http://www.bulgyofoc[...]
仏教フォーカス
2021-09-05
[19]
뉴스
キム・ギュソン漣川郡守14日動静 (김규선 연천군수 14일 동정)
http://www.uynews.ne[...]
2017-08-20
[20]
뉴스
輝く忠清北道「星のふるさと」... 地域出身11人の将星進級慶事 (빛나는 충북 ‘별들의 고향’ … 지역출신 11명 장성진급 경사)
http://www.cctoday.c[...]
2020-0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